국비/JavaScript6 05. 코어 객체 : 이미 만들어진 객체 코어 객체의 종류 Math, Date, Array .... 1. Math 더보기 Math.round() :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환 Math.ceil() :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 된 값을 반환 Math.floor() :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한 값을 반환 Math.trunc(a) : a의 정수 부분을 반환 Math.sign(a) : a가 음수, null 또는 양수이면 반환 Math.pow(x, y) : x의 값을 y의 거듭제곱으로 반환 Math.sqrt(x) : x의 제곱근을 반환 Math.abs(x) : x의 절대(양수)값을 반환 Math.sin(x) : 각도 x(라디안으로 지정)의 사인(-1 과 1 사이의 값)을 반환 Math.cos(x) : 각도 x(라디안으로 지정)의 코사인(-1과 1 사이.. 2022. 9. 15. 04. 객체 자바스크립트 객체 객체의 고유한 속성을 프로퍼티(property)라고 부르며, 여러 프로퍼티와 값의 쌍으로 표현된다. 객체가 호출하는 함수는 메소드라고 부른다. 실습 기차에 등급별 좌석을 구현하자! 3명의 고객이 있으며, 각 고객별 정보는 다음과 같다. [1] 이름: 홍길동 나이: 20 등급: 1 [2] 이름: 이순신 나이: 40 등급: 2 [3] 이름: 장보고 나이: 19 등급: 3 3명은 기차 한 대에 모두 탑승한다. 기차 객체를 만들고 각 손님들을 프로퍼티로 선언한다. 프로토타입 new 뒤에 나오는 생성자를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프로토타입이라고 부른다. 프로토타입은 함수로 선언하여 사용한다. 단,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해준다. 모든 객체는 그들의 프로토타입으로부터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상속받습니다. 프로퍼.. 2022. 9. 14. 03. 함수 함수 인자(파라미터, parameter) : 매개변수(선언부) 인수(아규먼트, argument) : 매개변수에 들어가는 값(사용부, 호출부) 함수의 선언 ▶ function : 함수 선언 표시 ▶ 식별자 : 동사로 작성 ▶ parameter : 여러개 있을 때에는 콤마로 분리하고 자료형을 따로 작성하지 않는다. 생략도 가능하다. ▶ return : 생략이 가능하다, 리턴타입은 따로 작성하지 않는다. JS에서는 오버로딩을 지원하지 않는다. JS에서 동일한 식별자로 함수를 여러번 선언하면, 가장 마지막에 선언한 함수로 결정된다. 가변인자 매개변수의 최대 갯수가 정해지지 않은 함수 가변인자와 확실한 매개변수 둘다 받고 싶다면? 확실한 매개변수를 앞에 써주고, 그 다음에 가변인자를 쓴다. includes( ) .. 2022. 9. 14. 02. 데이터 타입과 변수 데이터 타입과 변수 1. 자바스크립트 식별자(이름) 식별자(identifier)란 자바스크립트 개발자가 변수, 상수, 함수에 붙이는 이름이다. 식별자를 만들때 다음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 첫 번째 문자 : 알파벳, 언더바, $문자만 사용 가능 - 두 번째이상 문자 : 알파벳, 언더바, 0-9, $사용 가능 - 대소문자 구분 : data와 dAta는 다른 식별자이다. - 키워드(예약어) 사용 불가 6variable X student_id O _code O if X %calc X $data O 2. 문장 구분 세미콜론으로 문장과 문장을 구분한다. 한 줄에 한 문장만 있는 경우 세미콜론을 생략할 수 있다. i = i + 1 O j = j + 1 O k = k + 1; m = m + 1 O n = n + 1.. 2022. 9. 1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