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비/JavaScript

03. 함수

by suehyune12 2022. 9. 14.

 

함수


인자(파라미터, parameter) : 매개변수(선언부)
인수(아규먼트, argument) : 매개변수에 들어가는 (사용부, 호출부)


함수의 선언

 

함수


▶ function : 함수 선언 표시
▶ 식별자 : 동사로 작성
▶ parameter : 여러개 있을 때에는 콤마로 분리하고 자료형을 따로 작성하지 않는다. 생략도 가능하다.
▶ return : 생략이 가능하다, 리턴타입은 따로 작성하지 않는다.

 

 

JS에서는 오버로딩을 지원하지 않는다.

JS에서 동일한 식별자로 함수를 여러번 선언하면,
가장 마지막에 선언한 함수로 결정된다.

 

오버로딩을 지원안하는 JS의 결과


 

가변인자

 

매개변수의 최대 갯수가 정해지지 않은 함수

 

가변인자 = ...args

 

가변인자와 확실한 매개변수 둘다 받고 싶다면?
확실한 매개변수를 앞에 써주고, 그 다음에 가변인자를 쓴다.

매개변수와 가변인자

 


 

includes( )

문자열에 있는 includes() 메소드에 조회할 값을 전달하면,
포함되어 있을 때 trun, 없을 때에는 false이다.

includes

 

||

값이 없을 때 초기값을 설정한다.
|| : or 연산자 
false 취급되는 값이 || 연산자 앞에 들어오면 뒤에 작성된 초기값이 들어가게 된다.
false로 취급되는 값 : "" , 0, undefined
주로 게시판 페이지 처리에 많이 사용

or 연산자

 

=== 
값과 타입 모두 같아야 true

 

 

 
true : 값이 10으로 같아 true
false : data1은 string타입이고, 
           data2는 number타입이라서 false
 
 
 

 

callback

callback은 매개변수
JS에서는 매개변수의 개수에 맞추어 값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만약 매개변수 개수보다 부족하게 값을 전달하면 값을 못받은 매개변수에는 undefined가 들어간다.
만약 매개변수 개수보다 넘치게 값을 전달하면 나머지 값의 개수는 잘린다.

JS에서는 함수를 값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매개변수로 전달이 가능하다.
현재 함수에서 나온 결과값을 다른 함수로 전달할 때에는 callback이라는 매개변수명으로 함수를 전달받아 온다.

 

 

실습

상품명, 가격, 개수를 전달받은 뒤 전체 금액을 출력한다.
1. 상품명과 가격, 개수는 A함수에서 전달받는다.
2. B함수에서는 상품명과 전체 금액을 전달받아서 출력한다.
3. A함수는 B함수를 callback함수로 전달받는다.

 

callback 실습

 

 

 

'국비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코어 객체 : 이미 만들어진 객체  (0) 2022.09.15
04. 객체  (0) 2022.09.14
02. 데이터 타입과 변수  (0) 2022.09.14
01. 작성 위치 & document.write( ) & 다이얼로그  (0) 2022.09.13
00. JavaScript의 기본  (0) 2022.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