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비29

DBMS : DDL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테이블끼리 서로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Table, Relation(오라클), Class라고 부른다. COLUMN(열, 속성, 필드) 공통된 값들의 주제, 집합. ROW(행, 레코드, 튜플) 하나의 정보 PRIMARY KEY(PK) 고유한 값. 각 행의 구분점으로 사용된다. 중복이 없고 NULL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FOREIGN KEY(FK) 다른 테이블의 PK를 의미한다. 보통 테이블끼리 관계를 맺을 때 사용한다. 중복도 가능하고 NULL도 가능하다. UNIQUE KEY(UK) NULL은 허용하지만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컴파일 언어와 스크립트 언어 차이점 - 컴파일 언어 파일 단위로 해석한다(일괄처리). 빈번한 수정 시 비효율적이다. - .. 2022. 8. 23.
DBMS의 시작 DB(Database) 데이터가 모여 있는 기지. 추상적인 용어.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를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스템. 오라클(괴물단체), 마리아DB, MySQL, MS-SQL, MongoDB, .. 오라클 DBMS 버전 i : internet g : grid c : cloud 오라클 DBMS 설치 - 11G https://drive.google.com/file/d/1rM1Z7-mA6vjySBgwWLr3ZI883xiL27HN/view?usp=sharing 압축 해제 > DISK1/setup.ext 실행 > Next > I Agree.. 체크 > Next > Next > 비밀번호 1234 > Next > 정보 확인 후 Intall > Finsh 계정 sys :.. 2022. 8. 23.
JAVA : 파일 입출력 파일 입출력 Stream이라는 연결통로를 통해 원본 데이터가 알맞는 인코딩 방식으로 전송된다. byte단위로 입출력되기 때문에 개별처리이며, 상세 연산이 필요하지 않다면, Buffer를 사용한 입출력을 권장한다. Buffer를 사용하면 일괄처리가 가능해진다. ※ 인코딩 방식 인코딩 방식은 완성형과 조합형이 있다. - 완성형 : 각, 간, 갇, 갈, 감, .... ,갛 - 조합형 : ㄱ + ㅏ + ㄱ 조합형이 효율적이며 byte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고정된 byte가 아니기 때문에 가변형 인코딩 방식을 선호한다. 조합형이면서 가변형인 인코딩 방식은 UTF-8이며,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Writer(출력) BufferedWriter : 버퍼를 사용한 출력 클래스 FileWriter : .. 2022. 8. 22.
JAVA : Thread(쓰레드) 프로그램 실행되지 않은 상태. 프로세스 실행된 프로그램 쓰레드 프로세스 처리 경로 - 단일 쓰레드 처리 경로를 한개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렬적이다. 동시에 많은 양을 처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하나의 작업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작업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정성이 보장되고 설계 시 멀티 쓰레드에 비해 쉽다. -멀티 쓰레드 하나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짧은 단위로 분할해서 차례로 처리한다. 여러 개의 처리 경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동시 작업이 가능해진다. 설계하기 굉장히 어려우며, 하나의 쓰레드 문제 발생 시 모든 쓰레드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JAVA 웹 서버가 대표적인 멀티 쓰레드이다. 멀티 쓰레드로 설계했다면, 처.. 2022. 8. 18.